4차 산업혁명 시대 글로컬 보건의료산업 발전을 선도하는 건강·행복 파트너 보건의료정보관리사 및 보건의료행정전문가 양성
보건의료산업이 사회구조 및 생활상의 구조 변화와 함께 첨단 전산화됨에 따라 웰빙 시대에 모든 국민에게 질 높은 진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건의료에 관한 전문지식을 체계적으로 접목하여 병원현장의 첨단 의료서비스 및 의료정보를 지원, 관리할 수 있는 현장 실무형 보건의료정보관리사 및 보건의료행정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.
보건의료정보관리 교육목표
PO1
보건의료정보관리 기초 지식: 보건의료정보관리 보건의료정보관리의 기본 지식 및 정보 기술을 이해하고, 보건의료정보관리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
PO2
의무기록 정보분석: 의무기록정보를 통해 보건의료정보 데이터의 질(DQM)을 개선할 수 있으며, 질병 및 의료행위 코드를 분류 적용할 수 있는 능력
PO3
의료정보 활용: 보건의료정보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통계 분석과 의료데이터를 분석 및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는 능력
PO4
보건의료 정책변화 관리: 보건의료정보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 및 정보기술 등을 인지하고 조직의 보건의료정보관리 정책에 반영하여 변화를 관리할 수 있는 능력
PO5
정보관리: 양질의 정보 생성을 위한 보건의료정보 표준과 관련 정보기술을 정보시스템에 적용하고 관리할 수 있는 능력
PO6
의사소통: 보건의료정보의 품질 관리를 위한 관련 분야 전문가와 소통하고, 질 향상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
PO7
조직관리와 리더쉽: 보건의료조직 내 보건의료정보관리자로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
PO8
직업윤리: 보건의료정보관리에 대한 사회적 책무를 이해하고, 법, 정보보호, 직업윤리를 강화하여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
PO9
정책인지 및 반영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 및 환경 변화를 인지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
PO10
Self- development 보건의료 및 정보기술 환경 변화에 따른 자기계발을 통하여 글로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능력